번데기 통조림
번데기는 길거리 간식의 대표식품입니다. 짭짤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번데기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류에서 나타나는 유충기와 성충기 사이의 정지적 발육단계로 먹이를 취하지 못하고 대개 운동하지 않으며 배설도 하지 않습니다. 유충조직의 퇴화와 성충의 형질이 완성되어 가는 시기인데 유충이 탈피하여 번데기가 되는 것을 요화, 다시 성충이 되는 것을 우화라고 합니다. 이런 일련의 변화는 변태호르몬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먹이를 취하지 못하고 자극을 안 주면 운동하지 않습니다. 몸무게도 거의 변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번데기는 유충과는 현저하게 다릅니다. 유충이 탈피해서 번데기가 되는 것을 요화라고 합니다. 변화가 변태호르몬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은 누에와 그 밖의 곤충의 실험적 연구에 의하여 밝혀져 있습니다. 번데기의 형태나 기능적 상태는 곤충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통조림으로 먹는 곤충은 나비목 누에나방과의 곤충인 누에나방입니다. 누에나방의 유충인 누에는 고치에서 실을 얻기 위해서 실내에서 인공적으로 사육됩니다. 옛날 중국에서 야생의 멧누에를 사육 개량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누에는 뽕나무의 잎을 먹고 자랍니다. 튼튼한 고치를 만들고 번데기가 됩니다. 최근에 먹이의 개량이 진보되어서 뽕나무 잎을 사용하지 않는 인공적인 먹이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을 비롯해서 전세계에 널리 사육됩니다. 일본, 중국,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많이 사육됩니다. 아시아 지역에서 식재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관련 글 통조림 글 : 먹기 편한 옥수수 통조림 통조림 글 : 먹기 편한 참치 통조림 |
번데기 영양소
번데기는 100g 기준 당질 2g, 단백질 22g, 지질 13g이 들어있습니다. 열량은 217kcal입니다. 어린이들의 성잘 및 발육에 도움이 됩니다. 뇌조직과 신경구성에 필수인 레시틴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고단백 식품이지만 염분 저장된 번데기의 경우 염분의 함량이 높아서 조심해야 합니다.
번데기 먹는 법
번데기는 주로 삶아서 먹습니다. 번데기 탕, 번데기 조림 등을 해서 먹습니다.
누에나방
번데기 통조림으로 먹는 곤충인 누에나방은 여러 품종이 있습니다. 화성, 면성, 알의 크기 및 빛깔, 누에의 몸빛깔과 무늬, 고치의 모양, 크기, 빛깔, 성충의 날개무늬, 빛깔 등이 다릅니다. 알로 월동하고 연 1회 봄에 발생하는 1화성과 여름과 가을에 발생하는 2화성이 있어서 봄누에, 여름누에, 가을누에라 부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휴면란도 약품처리로 언제든 부화시킬 수 있어서 누에를 기르는 기술은 매우 발달 되고 있습니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93484&cid=42785&categoryId=4279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0677&cid=40942&categoryId=32317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8072&cid=40942&categoryId=32527
|
'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좋은 해바라기씨 먹는 법 (0) | 2020.02.02 |
---|---|
맛있는 우엉의 효능 (0) | 2020.02.01 |
맛있는 잣의 효능 (0) | 2020.02.01 |
맛있는 국산 호두 (0) | 2020.02.01 |
맛있는 체리의 효능 (0) | 2020.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