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 개구리

사람들이 개구리를 먹는 모습은 쉽게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개구리는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개구리는 예부터 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나 헛배부른 사람에게 좋다고 했습니다. 단백질 부족을 해결하는 데 적합한 방법이었습니다. 개구리는 맛이 닭고기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밭에서 나는 닭이라고 하여서 전계라고 합니다.

 

한국에도 식용개구리가 양식되고 있습니다. 북미가 원산인 식용개구리가 도입이 되었습니다. 이 개구리는 미국인들이 많이 먹습니다. 뒷다리만 떼어서 튀김으로 즐깁니다. 개구릿과에 속하는 개구리의 일종입니다. 큰 건 길이가 20cm나 됩니다. 무게는 700g정도 되는 것도 있습니다.

 

식용개구리는 미국산 황소개구리를 포함해서 지구상에서 많이 식용되고 있습니다. 유럽참개구리, 아시아 남부의 범무늬개구리가 있습니다. 범무늬개구리는 닭고기와 비슷한 맛을 내어서 수계라고 합니다. 동남아시아에서 늪개구리, 게잡이개구리와 아마존에 사는 거꾸로개구리는 식용합니다. 길이가 25cm정도 되는 올챙이가 있는데 이것도 식용으로 거래됩니다. 

 

개구리는 왕에게 징상하면 안 되는 부정한 음식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황족들이 일주일에 1~2번씩 계속 먹었다고 합니다. 개구리를 고를 때 고기의 색깔은 빨간색이고 육질이 연하고 탄력이 있는 것을 사야합니다. 비슷한 재료로 뱀이 있는데 뱀과 개구리는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어서 자양강장의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개구리는 보관할 때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0도 사이가 적합합니다. 보관 가능한 기간은 1개월입니다. 개구리는 습지에 주로 서식한다고 합니다. 

개구리 영양소

개구리는 100g당 당질 0.7g, 단백질 16g, 지질 0.4g이 들어있습니다. 열량은 75kcal입니다. 개구리는 열랑이 낮은 편입니다. 그래서 비만인 사람이 먹으면 좋습니다. 같이 먹으면 좋은 음식으로 깻잎이 있습니다. 개구리는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비타민, 섬유소질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깻잎과 같이 먹으면 영양적으로 좋습니다. 

 

개구리는 단백질 20%, 지방 0.3%, 무기질 1%입니다. 단백질은 많이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지방이 별로 없습니다. 비타민, 무기질 등도 적습니다. 

개구리 먹는 법

개구리는 김치와 같이 먹을 수 있습니다. 김치를 넣어서 양념하고 조려서 먹습니다. 혹은 튀김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수육으로도 먹을 수 있습니다. 구워서 개구리 불고기로 먹을수도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중부지방에서 경칩을 전후로 개구리를 잡아서 죽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요즘에 개구리 튀김을 안주로 사용하면서 옴개구리까지 잡게되어 멸종위기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프랑스에서 식용개구리로 황소개구리를 많이 사용합니다. 식용 개구리 요리는 그르뉴라고 합니다. 껍질을 벗긴 뒷다리를 사용해서 음식을 만듭니다. 튀김으로 많이 먹는데 마리네, 스튜, 조림, 양념구이로 조리해서도 먹습니다.  한국에서 개구리 알을 경칩 전후에 강장제로 먹는데 이것은 위생적이지 않은 것이라고 합니다. 

 

개구리를 보관할 때 비닐이나 랩에 싸서 냉동으로 보관합니다. 표면에 미끌거리는 액은 씻고 껍질을 벗겨서 손질합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개구리 (쿡쿡TV),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93290

-[네이버 지식백과] 식용개구리 [edible frog, 食用─]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7001

-[네이버 지식백과] 식용개구리 [edible frog, bull frog]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한국식품과학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94875

 

'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맛 회복 갯가재  (0) 2020.02.18
맛있는 개암  (0) 2020.02.15
유용한 강력분  (0) 2020.02.15
맛있는 강된장  (0) 2020.02.14
영양가 있는 강낭콩  (0) 2020.02.10

+ Recent posts